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닫기
경남명소
메인으로 이동메인으로 이동

문화관광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의 파일 이미지

대동여지도의 파일 이미지

기본정보

0
  • 주소거창군 거창읍 수남로 2181  길찾기
  • 관리기관거창군 문화관광과
  • 문의전화055)940-3410
  • 편의시설
    장애인편의시설 놀이시설 수유실 유모차 자전거 와이파이

상세내용

* 지정 번호 : 경상남도 지정문화재 제275호 * 종목 : 유형문화재 제 275호
* 지정일 : 1990년 1월 16일
* 분류 : 분첨
* 규모(수량) : 1점
* 시대 : 1864년
* 소유자 : 거창군 거창읍 상림리64-1

대동여지도》는 조선후기 지리학자인 고산자 김정호(金正浩, ?~1866)가 순조 34년(1834)에 자신이 만든 《靑邱圖》를 27년 후에 증보 수정한 대축척 지도로 분첩절첩식(分帖折疊式)지도첩이다. 형태를 보면, 남북을 120리 간격으로 22층으로 구분하고, 동서를 80리 간격으로 끊어 19판으로 구분했다.
동서방향은 구획된 판을 접어서 연결시켜 1첩으로 만들어 쉽게 볼 수 있도록 했다. 남북은 동서의 방향을 연결시킨 각 첩을 펼쳐서 순서대로 이어대면 연속된 남북을 볼 수 있게 했다. 지도의 제1층에는 지도의 제목과 발간 연도 및 발간자를 명시하고 본도와는 별도로 서울의 도성도(都城圖)와 경조오부도(京兆五部圖)를 상세하게 그렸다. 축적을 보면, 지도의 제1층 첫머리에 그려져 있는 지도 방안(方眼)에 매방십리(每方十里)라고 되어 있어서 간접적으로 축척이 표시되어 있다. 지도의 좌표에 해당하는 이 방안은 지도를 동서로 접은 1면을 남북 12방안, 동서 8방안으로 구분하고 있고 남북이 120리, 동서는 80리로 되어 있다. 그리고 1면의 실제 길이는 남북이 약 30㎝, 동서가 약 20㎝이다. 그러므로 동서 20㎝가 80리(32㎞)에 해당되는 축척이므로《대동여지도》의 축척은 약 1/160.000 이 된다.
지도의 내용을 보면, 일반 지도에서는 지형표시에서 개개의 산지나 평지를 있는 그대로 나타내는 것이 보통이나《대동여지도》에서는 개개의 산보다 산줄기를 표시하는데 역점을 두었으며, 물줄기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거리는 붉은 선으로 처리하였는데 거의 직선으로 표시하고 십리마다 표시를 하여 어느 지점간이라도 방표의 수를 헤아려봄으로써 거리를 알 수 있게 하였다. 한편 14개 항목의 지도표(地圖標)를 만들어 가능한 부호로 처리한 점도 이 지도의 특징 중의 하나이다. 대동여지도》는 1861년(哲宗 12年)에 처음으로 만들어 김정호가 직접 목판으로 판각하였으며, 그 후 고종 원년(1864년 甲子本)에 수정본이 재간되었다. 박물관의 소장본은 1864년도 재간본으로 박물관 2층 중앙에 전시되어 있다.
대동여지도는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 ?~1864)가 27년 동안 전국 방방곡곡을 답사하여 1861년(철종 12)에 완성한 지도이다. 현재 이 지도는 1864년(고종 1)에 목판(木板)으로 다시 찍은 것을 김은호(金殷鎬)가 색칠과 함께 설명을 덧붙인 것이다.「대동여지도」는 동서 80리(약 32㎞) 남북 120리(약 47㎞)의 지역을 1층으로 하여, 모두 22층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 층은 세로 30.2㎝, 가로 20.1㎝ 크기의 8쪽으로 접을 수 있게 되어 있으며, 22층 모두를 순서대로 붙이면 1/16만 축척(縮尺)의 우리나라 전체 지도가 된다. 전체 지도의 크기는 세로 7m, 가로 3m이다. 지도의 첫 머리인 1층에는 좌표(座標)와 지도유설(地圖類說) 등이 실려 있다. 지도에는 따로 축척을 표시하지 않았지만 좌표에 모눈[方眼, grid]을 그리고 ‘각 모눈은 10리(약 4㎞)’라고 표시하여, 사실상 축적을 표시하고 있다. 서문(序文) 격인 지도유설에는 지도의 제작 경위와 중요성, 읽는 법, 실용 가치 등에 대해 서술하고 전국 해안선의 길이 및 6대 간선도로의 총 길이를 기록하였다. 대동여지도는 우리나라의 지형을 현재의 지도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거의 정확하게 표시되어 있다. 또한 국토지리에 대한 당대의 시대적 인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전의 지도들은 각 지역의 호구(戶口) 수나 토지 면적 등의 표시를 중요하게 여겼다. 그러나 대동여지도는 그것보다 지형과 산맥, 하천, 도로, 역참 등과 같은 교통로를 상세히 표시하였다. 이전의 지도가 국방과 조세 부과 등 정책적 필요에서 제작된 반면, 대동여지도는 조선 후기에 활발해진 상업 활동을 반영하여 제작되었다. 상업의 발달을 위해서는 물자의 이동망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였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대동여지도의 표시 내용은 이러한 시대 요구를 잘 받아들이고 있는 셈이다.

교통정보

88고속도로 이용시 → 거창IC → 거창읍 김천리 거창박물관 내


직행버스




  • 서울(남부)- 거창 : 첫차08:40 막차23:00 15회 운행, 3시간 30분 소요


  • 대구(서부)- 거창 : 첫차6시 막차21시 68회 운행(10~15분마다) 1시간10분 소요


  • 진주-거창 : 첫차 6시50분 막차19시47분 44회 운행, 2시간20분소요


  • 부산(서부)- 거창 : 첫차7시 막차 18시40분 4~50분간격 운행, 2시간40분 소요




교통안내




  • 서울 : (02)521-8550, 대구 : (053)625-2824, 진주 : (055)741-6039, 부산 : (051)322-8303


  • 거창 : 1666-3601


연관태그

지도

지도안 선택한 장소입니다.

인근 관광지

대동여지도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대동여지도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목록
  • 담당부서 : 관광개발국 관광정책과  
  • 연락처 : 055-211-6051

최종수정일 : 2018-10-20

top버튼.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