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닫기
관광정보
메인으로 이동메인으로 이동

주요무형문화재

통영오광대

통영오광대
[중요무형문화재 제 6호] 문화재 상세보기 홈페이지 바로가기

약 90여 년 전 시작되었다는 통영오광대는 처음 의흥계(義興契, 90여 년전)로서 유지되었고 그 다음은 난사계(蘭社契, 70여 년 전) 노인파들이었고 50여 년 전 장재봉이 29세 때 중년파로 춘흥계(春興契)를 시작하여 난사계의 오광대를 계승, 중흥시켰다. 16세기 통영에 수군통제사영(水軍統制使營)이 설치된 뒤부터 매해 섣달 그믐날 통제사 동헌에 들어 밤늦게까지 메구를 치고 탈놀이를 하였다고 한다. 각 섬에서 소집되어 온 수군에 배치된 악공들 30여 명을 동원하여 섣달 28일 경부터 집사, 이방 등의 감독하에 연습하고 그믐날 메구행렬을 이루어 관가를 돌고 관가가 끝나면 민가를 돌며 정월 보름까지 메구를 쳤다고 한다. 이러한 연초의 메구는 궁중이 나례와 맞먹는 벽사의례의 하나였는데 주로 중광대탈이 앞장 서서 메구를 친 다음 중타령이나 염불과 천수경을 외우고 방안에 들어가 혼자서 귀신을 쫓기도 하였다고 한다. 수군통제영에는 취고수청(吹鼓手廳)과 교방(敎坊廳)이 있었고 그 전통이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악공조합은 따로 메구를 쳤다고 한다.

고성오광대

고성오광대
[중요무형문화재 제 7호] 문화재 상세보기 홈페이지 바로가기

고성오광대는 경남 고성 지방에서 전해 내려오는 가면극이다. 가면극이라 함은 우리가 흔히 탈춤이라고 부르고 있는, 탈을 쓰고, 춤을 추며 재담(익살을 부리며 재미있게 하는말)을 하는 오래된 우리의 공연예술이다. 이 가면극은, 전승되어 오고 있는 지역에 따라서 각각 다른 이름으로 불리운다. 먼저 황해도(해서탈춤) 전역에서 놀아졌으나 지금은 봉산(중요무형문화재 제17호), 강령(중요무형문화재 제34호), 은율(중요무형문화재 제61호) 등 세 곳의 탈춤만이 전승된다. 오광대라는 이름의 뜻은 다섯 마당(오과장)으로 놀아지기 때문이라는 말과 다섯 명의 광대가 나와서 노는 놀음이기 때문이라는 말이 있다. 이 가운데 오과장으로 구성된 것은 고성의 경우이고 다른 지역은 일곱 과장, 여섯 과장으로 구성된 경우도 있어 경남 일대의 모든 탈놀이의 이름으로 설명되기에는 설득력이 부족하다. 후자 다섯 명의 광대가 나와서 공연함에서 연유된 것, 특히 동·서·남·북·중앙의 다섯 방위(오 방)를 상징하는 다섯 광대가 나와서 하는 놀이가 주가 되었기에 이것을 근간으로 오광대라는 명칭으로 두루 쓰이게 된 것 같다.

진주 삼천포 농악

진주 삼천포 농악
[중요무형문화재 제 11-1호] 문화재 상세보기 홈페이지 바로가기

농악의 기원에는 농사안택축원설(농사안택축원설), 군악설(군악설), 불교관계설(불교관계설) 등이 있으나 농악의 목적에 따라서 당굿과 같은 마을굿, 지신밟기굿, 걸립굿, 두레굿, 판굿 등으로 분리 발전한 것으로 본다. 진주삼천포농악은 1966년에 지정될 당시에는 『농악12차』라 했으나 1986년에는 진주농악으로, 1993년에는 진주삼천포농악으로 개칭되었다. 명칭은 바뀌었으나 이 농악은 12차의 판굿으로서 걸립굿과 두레굿 등의 가락을 12종 36가락을 구성 정립한 것으로 진주와 삼천포지역에 전래되고 있는 경남형 농악이다. 이 판굿은 진해의 명 상쇠였던 박경호로부터 진주시의 고 김한노에 이어졌으며, 초대 상쇠보유자였던 진주의 고 황백일과 삼천포의 문백윤이 전수 받았던 것이다.

승전무

승전무
[중요무형문화재 제 21호] 문화재 상세보기 홈페이지 바로가기

통영북춤이라고도 한다. 《고려사(高麗史)》에는 고려 충렬왕 때 시중(侍中) 이혼(李混)이 영해섬에서 귀양살이를 하던 중 바다 위로 떠내려온 나무토막으로 북을 만들고 지은 춤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 이후 북춤은 관노제도에 의하여 설치된 교방청(敎坊廳)에 예속되어 조선 말기까지 전승되었는데 통영시에서도 삼도수군(三道水軍) 통제영(統制營)에 소속되어 있던 교방청의 기녀들에 의하여 연행(演行)되었다. 특히 충무공 이순신은 임진왜란 때 병졸들의 사기를 북돋아주기 위하여 병선 위에서 이 춤을 추게 하였고 때로는 망중한이나 승전 후에도 추게 하였다. 그 후 충무공의 춘추 제사 때와 탄신제 등에 헌무(獻舞)됨에 따라 원래는 궁중무용이던 무고(舞鼓)가 점차 통영시의 민속무용으로 변모된 것이다.

영산쇠머리대기

영산쇠머리대기
[중요무형문화재 제 25호] 문화재 상세보기 홈페이지 바로가기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에 전승되고 있는 고유의 세시(歲時)민속놀이로 쇠머리대기라는 공식 명칭 외에도 '목우전' , '나무소싸움', '소나무싸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졌다. 그 해 농사의 풍흉년을 점쳐 보는 농경 의례 놀이로써 이긴 마을이 풍년이 든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에 격렬한 겨룸판이 펼쳐지기도 한다. 쇠머리대기의 역사를 찾아볼 수 있는 옛 기록은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영산지역은 소싸움이 가장 성행되어온 영남 지방에서도 그 중심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 소싸움에서 그유래를 찾아봐야 할 것이다. 두 마리의 소가 싸우던 것이 나무소로 대체된 것이라 생각되며, 다음으로 안동의 민속놀이인 차전놀이에서 영향을 받았거나, 반대로 주었을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나무쇠와 안동차전놀이의 기구의 형태가 비슷하고, 상대를 위에서 아래로 눌러 내려 승부를 짓는 전법도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 두 가지의 유래를 같이 하며 점차 형성, 발전된 것으로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밀양백중놀이

밀양백중놀이
[중요무형문화재 제 68호] 문화재 상세보기 홈페이지 바로가기

밀양에서는 꼼배기참놀이라고도 한다. 한국 중부 이남, 벼농사를 주로 하는 지방의 '호미씻이 놀이' 로, 밀양에서는 음력 7월 보름[百中日]을 전후한 시기를 '머슴날' 로 정하고 갖가지의 놀이로 하루를 즐긴다. 이 날은 '꼼배기참'이라고 하는 음식으로 머슴들을 대접하고 각종 춤과 토속적인 놀이를 벌인다. 밀양은 유달리 양반ㆍ중인ㆍ천인의 계급차가 심한 곳이어서 천민들의 설움이 놀이 속에 잘 표현되어 있다.

가산오광대

가산오광대
[중요무형문화재 제 73호] 문화재 상세보기 홈페이지 바로가기

가산 오광대는 경남 사천시의 가산리에서 전승되어 온 영남형 민속가면극이다. 가산리의 노인들에 의하면 약 2~3백년의 역사를 가진 것이라 하지만 문헌이나 기록은 없다. 현재의 기능보유자 계보만 가지고 보아도 약 1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가산은 조선조 말까지 조창이 있던 곳으로 약 300호의 큰 고을이어서 항상 시장이 열렸는데, 그 때 탈놀음이 행하여 진 것으로 보인다. 현재 가산리에 거주하는 한씨가 정착한 지가 11대에 이르는 것과 동제인 천룡제와 오광대놀이가 밀착되어 있는 것 등을 미루어 오랜 전통을 지닌 놀이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남해안별신굿

남해안별신굿
[중요무형문화재 제 82-4호] 홈페이지 바로가기

경상남도 통영을 중심으로 통영시 도서지방 한산도, 욕지도, 사량도 그리고 부산, 마산, 거제, 삼천포, 남해 등지에서 이루어지는 이 지역 어촌마을의 공동 제의이다. 부족국가 시대의 다양한 제천의식에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공동체적 신앙으로 축제적 기능, 통합적 기능, 정치적 기능, 예술적 기능 등 우리 고유의 공동체적 신앙의 모습을 지켜오고 있으며 특히, 예인들이 많던 지역적 특성에 의하여 세습무인 남해안별신굿은 고도로 숙련된 무가, 무악, 무무로 이루어져 있어 그 문학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 되었다.

고성농요

고성농요
[중요무형문화재 제 84-1호] 문화재 상세보기 홈페이지 바로가기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에 전승되고 있는 농부의 들노래로서 등지라고도 하며, 모찌기ㆍ모심기ㆍ타작ㆍ삼삼기ㆍ논매기ㆍ물레질의 순으로 진행된다. 1985년 12월 1일 중요무형문화재 제84-1호로 지정되었다. 모찌기·모심기 때는 각각 긴 등지와 짧은 등지를 부르는데, 모찌기를 끝낼 무렵이나 점심때가 가까우면 구성진 긴 등지에서 빠른 등지로 바뀐다. 또 해거름 등지는 모심기의 끝맺음을 재촉한다. 타작소리는 10여 명의 도리깨 타작꾼이 나와서 앞소리를 받아가며 타작을 하고, 삼삼기노래는 30여 명의 여인이 삼을 삼으면서 합창한다. 논매기소리는 상사디야·방아타령을 부르며 머슴놀이를 하고, 물레노래는 30여 명의 여인이 물레질을 하면서 합창한다.

  • 담당부서 : 문화관광체육국 관광진흥과  
  • 연락처 : 055-211-4611

최종수정일 : 2018-10-26

top버튼.
방문자 통계